임상식물병리학 연구실
(Clinical Plant Pathology & Nematology Lab.)
연구실 소개
본 연구실(임상식물병리 및 선충학연구실)에서는 식물병의 생물적 원인(곰팡이, 박테리아, 바이러스, 선충 등)을 진단하고, 병 발생 특성을 구명하며 이를 근거로 효과적인 병 방제 방법 개발을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세부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식물의 병든 부위에서 병원체들을 분리하여 광학현미경이나 전자현미경 관찰을 통한 이들의 형태적 특성과 특정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 등 분자생물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병원체를 동정하고 병원체를 식물체에 접종하여 병 발생을 확인하며 병 발생과 관련된 제반 특성을 조사함.
2. 병 방제를 위해서는 약제 방제 이외의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여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데, ① 약용식물의 추출물, 유용미생물 및 불활성화한 병원미생물 등의 길항작용(antibiosis)과 저항성 유도작용을 이용하여 효과적인 방제법 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② 병원체 접종 방법을 통해 저항성 식물체를 선별 육성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3. 기주와 병원체의 관계에 있어서는 주로 조직병리학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각종 병원체에 대한 저항성 메커니즘을 구명하고 있음. 지금까지 ① 선인장과 고추의 탄저병 저항성 메커니즘으로 저항성 선인장에서는 abscission layer(떨켜) 형성으로, 저항성 고추에서는 감염초기에 세포사멸과 감염후기 wound periderm(상처주피) 형성하여 병 진전을 억제하며 ② 뿌리혹선충과 씨스트선충에 대한 저항성 메커니즘으로 이 선충들의 양육 세포인 giant cell(거대세포)와 syncytium(합포체)의 형성 억제와 조기 퇴화로 선충의 섭식을 방해함 등이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