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균병학 연구실
(Fungal Plant Pathology Lab.)
연구실 소개
우리 실험실은 식물 병원성 곰팡이를 대상으로 병원균-기주식물 상호작용에 관한 분자수준의 메커니즘 연구 및 이와 연계된 시스템 생물학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지난 15 여 년 동안 벼 도열병균(Magnaporthe oryzae)의 부착기 형성과 관련된 신호 전달 체계 및 병원성 유전자들에 대한 분자유전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한편으로는 벼 도열병균의 전체 게놈 서열 해독에 힘입어, Agrobacterium tumefaciens-mediated transformation 기법을 이용하여 20,000 개 이상의 벼 도열병균 형질전환체를 생산하였으며, 이들을 분석하여 200 개 이상의 새로운 병원성 유전자를 규명할 수 있었다. 최근에는 유전체 수준에서 전사조절인자 및 분비단백질에 대한 기능유전체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도열병균의 병원성 요인의 조절 작용을 보다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후생유전체학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기능/비교/후생유전체 연구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생물정보학 연구를 통해 웹 기반 데이터베이스 및 유저인터페이스를 구축하였다. 다양한 연구를 통해 획득한 모든 연구재료들은 한국연구재단 지정 “곰팡이유전자원은행”에 보관하며 관련 연구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들은 식물병 발생을 시스템 수준에서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플랫폼을 제공할 것이라 여겨진다.
주요연구분야
– Research on plant disease forecasting
– Quantitative analysis on the crop damages caused by plant diseases
– Research on influences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on plant disease development
– Research on temporal changes and spatial patterns of plant disease development
– Development of forecasting information system for various plant diseases
– Research on theoretical and practical plant disease control methods
– IPM (Integrated Pest Management)
– Resistant cultivars, biological control, chemical control